minyoung

[react native 타로카드 팀 프로젝트] git revert 본문

React/react native

[react native 타로카드 팀 프로젝트] git revert

stylish-code 2024. 1. 22. 16:54

협업할 때는 git reset 보다 git revert를 활용하자!

 

 

git log —oneline
git revert dfe519

git revert 커밋해시 -> 진행

dfe519는 예시이다.

헷갈린다면 노란색으로 뜨는 것을 git revert 뒤에 작성하면 된다.

 

기억하자
revert는 커밋을 취소하는 커밋을 생성하는 것이다.

windows 운영체제 + powershell 터미널 창 => Vim 편집기 => Vim의 몇 가지 기본적인 명령어를 사용하여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고 저장한다.  i 를 눌러서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. 화면 상단에 "--INSERT--"라고 나타나면 입력 모드에 진입한 것이다. 원하는 커밋 메시지를 입력 한 후 ESC 키를 누르고 명령 모드로 들어간다. :wq를 입력해서 저장하고 Vim을 종료한다.

 

이렇게 하면 Vim에서 나와서 git revert가 진행된다.

 

그 다음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=> 원격에도 반영해주자.

 

다시 한 번 git log --oneline을 해주면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에도 반영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HEAD -> minyoung, origin/minyoung는 Git에서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와 해당 브랜치가 원격 저장소에서 어떤 위치를 가리키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표기이다. 각 부분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.

  1. HEAD:
    • HEAD는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를 가리키는 포인터이다. 즉, 현재 코드가 어떤 브랜치에서 작업 중인지를 나타낸다.
  2. ->:
    • 화살표(->)는 어떤 브랜치가 현재 체크아웃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. 즉, HEAD가 가리키는 브랜치가 minyoung 브랜치라는 것을 보여준다.
  3. minyoung:
    • minyoung은 현재 작업 중인 로컬 브랜치의 이름이다. 현재 변경사항이 반영되는 브랜치를 의미한다.
  4. origin/minyoung:
    • origin/minyoung은 원격 저장소에서 가져온 minyoung 브랜치를 가리킨다. 이 부분은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의 동기화를 나타낸다. 즉, 로컬 브랜치가 원격 브랜치를 추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.

따라서 위 사진은 전체적으로 이렇게 해석이 가능하다.

"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는 minyoung이고, 이 브랜치가 원격 저장소의 minyoung 브랜치를 추적하고 있다."